경주시가 월성원전 맥스터(사용후핵연료 건식저장시설) 증설에 따른 지역발전 상생협력 지원금 750억원의 배분 방식에 최종 합의했다. 이는 2022년 기본합의 체결 이후 3년간 이어진 논의 끝에 극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지원금 집행이 가속화되면서 지역발전 사업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경주시는 지난달 26일 동경주(감포읍·문무대왕면·양남면) 주민대표와 협의를 통해 전체 지원금 중 700억원을 우선 배분하는 방안에 합의했다. 이에 따라 경주시는 280억원, 동경주 지역에는 420억원이 배정됐다. 다만, 최인접지역 주민들의 이견이 좁혀지지 않아 50억원의 추가 지원금 배분은 후속 협의로 남겨두었다.3년간의 난항 끝에 이룬 극적 합의이번 합의는 단순한 재원 배분을 넘어 지역 간 갈등 해소와 행정 신뢰 회복에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그동안 최인접지역 주민들은 “월성원전과 가장 가까운 지역이므로 더 많은 지원을 받아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마을 간 의견이 엇갈리며 협상이 지연됐다. 이러한 결과로 750억원의 지원금은 2년간 은행 계좌에서 동결된 상태였고, 지역 주민들 사이에서도 불만이 쌓여왔다. 경주시는 협상이 장기화될 경우 지원금 자체가 활용되지 못할 우려가 크다는 점을 강조하며 조기 합의의 필요성을 주민들에게 설득해 왔다. 시 관계자는 “합의가 지연되면 지역발전 사업 자체가 멈춰설 수 있다는 공감대가 형성됐다”며 “최인접지역 50억원 문제는 추가 협의를 통해 해결하기로 하고, 우선 700억원의 집행부터 진행하기로 했다”고 밝혔다.APEC 정상회의 준비에 탄력이번 지원금 배분 합의로 경주시는 오는 10월말 개최될 APEC 정상회의 준비에도 숨통이 트이게 됐다. 경주시는 확보된 280억원의 재원을 활용해 △회의장 인근 도로 확충 △하이코(HICO) 시설 개선 △문화·관광 활성화 사업 △야간 경관 개선 △만찬장 조성 등 다양한 인프라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경주시는 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국제적 도시 이미지를 구축하고, 관광산업을 활성화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APEC 정상회의를 성공적으로 치르면 경주는 글로벌 회의 도시로 거듭날 수 있다”며 “지원금을 활용해 도로 정비, 숙박·편의시설 확충 등 인프라 개선에 집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원전 관련 지역발전 사업도 추진한편, 750억원의 지원금과는 별도로 지역발전 상생협력 기본 합의에 따라 원전 관련 지역발전 사업도 추진될 예정이다. 주요 사업으로는 △경주시민 의료복지 향상을 위한 공공 의료지원 체계 구축 △한수원 축구단 훈련센터 건립 추가 지원 △삼중수소 자원화 사업 추진 등이 포함된다. 지역 주민들은 이번 합의에 대해 환영하면서도, 최인접지역 지원금 50억원에 대한 논의가 원만하게 해결되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동경주 주민들은 “지금이라도 합의가 이루어진 것은 다행이지만, 최인접지역 문제도 하루빨리 해결되어야 한다”며 “경주시가 주민들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해 원전 관련 행정을 투명하고 공정하게 진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경주시는 앞으로도 주민 의견을 수렴하며 추가 협의를 이어가겠다는 방침이다. 주낙영 경주시장은 “이번 합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애써 주신 모든 관계자들께 감사드린다”며 “지원금을 바탕으로 성공적인 APEC 정상회의를 개최해 경주시가 글로벌 도시로 도약하는 계기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