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영 기자]= 국립경주박물관(관장 유병하)은 기관지인 ‘신라문물연구 9집’ 신라 문물 및 국립경주박물관 소장품 등에 관한 연구논고에서 국립경주박물관 소장 임신서기석 제작연대를 552년임을 새롭게 입증했다고 24일 밝혔다.국립경주박물관 이용현 학예연구사의 `임신서기석의 문체文體와 연대年代의 재고찰`에서 종래 612년설이 주류를 이뤄왔던 임신서기석(국립경주박물관 소장, 보물 1411호)의 연대가 552년임을 문체文體 분석을 통해서 새롭게 입증함에 따라 역사·고고학계가 비상한 관심을 보이고 있다.신라시대 젊은이 두 사람이 나라가 어지러워지면 충성을 다바칠 것과, 유교경전을 3년 안에 습득할 것을 스스로 맹서한 임신서기석의 임신년 연대에 대해서는 그 간 정해진 의견이 없었다. 전통적 간지干支 연대가 60년마다 반복되는 데다가 결정적인 자료가 결여되었던 까닭에, 유교경전이 신라 사회에서 언제쯤 학습되었을까 하는 정황을 기준으로 732년, 612년, 552년 등 다양한 견해가 병립하고 있다.이번 논고에서는 “맹서하기를 … 라고 맹서한다”라는 서술어 반복 문체가 6세기대 신라 금석문에 보이는 것을 근거로 임신년의 연대를 552년으로 특정했다. 임신서기석은 이두 자료로서도 국어학에서 중요하였는데 이두 발전 연구의 기준 연대를 제시할 수 있게 됐다.신라전문박물관인 국립경주박물관 관계자는 "소장품을 매개로 한 전시와 연구를 통해 신라 문화를 조명해오고 있다."며 “신라문물연구 9집 발간은 그와 같은 성과물의 집적이며, 공공도서관을 비롯 관련 기관과 학계에 배포예정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