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박물관 사실상 백지화명분없는 사업에 예산 전용 어렵다. 시민공감 부족
경주시는 지난 16일 동경주민 대상으로 한 주민공청회를 열어 방폐장유치지역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추진하던 2000억원 예산의 `에너지박물관` 건립사업을 동경주권 주민공청회를 통해 3가지 대체 사업으로 전환하려는 계획이 사실상 동상이몽으로 전락할 위기에 봉착했다.본지의 19호 신문에 실린 내용처럼 시내권의 일부 주민들이 제기한 원해연유치 불발의 이슈를 돌리려 한다는 지적과 함께 공청회 후 ‘양북주민자치위원회’ 대의원총회에서 의견을 좁히지 못했다.주민자치위원회 간부는 “ 도저히 경주시행정을 이해 할 수 없다. 대안 사업중 몇가지는 납득 할수 있지만 동경주권 주민들의 목숨을 담보한 지원예산을 시내권에 사용한다는 것은 절대 이해 할 수 없고, 더 이상 시장이 이러쿵 저러쿵 한다는 것을 좌시 할 수 없다”고 강력한 의지를 표명했다.이번주에 주민들이 다시 모여 의사를 결정 하기로 되어 있으며, 일부에서는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많을 수 밖에 없으며, 뚜겅을 열어 봐야 알 수 있지만 지금으로서는 절대적으로 승사되기가 어려울 것이다”라고 전하고 있다. 19호 지면에 언급 한바 있는 내용으로 조건부가결에도 무게가 실리고 있고, 역시나 시관계자는 조건부 가결일 경우 사업전체를 고민해봐야 한다는 입장을 표명하고 있다. 이로 인해 경주시의 계획에 차질이 생길 경우 에너지박물관 사업과, 복합스포츠단지 사업, 문무대왕성역화 사업, 에너지과학단지 사업 등이 종착지가 보이지 않은 사업으로 전락할 위기에 봉착했다.이은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