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업의 미래, 젊은 피 없이 어떻게 살아남나?정운락 전 안강농협조합장 한국의 축산업은 심각한 고령화 문제에 직면해 있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축산농가 가운데 65세 이상이 절반에 육박하며 `초고령화` 시대에 진입했다. 젊은 인력은 떠나고, 들판은 황폐해지며, 농촌의 노래는 사라지고 있다. 이는 단순히 농가 수 감소를 넘어 한국 축산의 미래를 위협하는 심각한 위기다.      그러다 보니 한때 ‘전국 최대 한우 생산지’라는 지위를 지켰던 경주시가 1위 자리를 이미 상주시에 내줬고 그 격차는 점점 커지고 있다. 전업농 중심으로 농가를 새롭게 재편하며 발빠르게 변화한 상주에 비해 경주는 사육두수 50두 미만 중·소형 규모의 부업농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경주는 도시화로 인해 신규 축사 건립이 어려운 측면이 있어 전업농, 대형화가 어려운 것이 현실이라는 분석이다.  축산 기반을 탄탄하게 유지하려면 신규 인력 유입이 반드시 뒤따라야 하지만, 상당수 축산 농가들은 후계농이 없다. 그나마도 새롭게 축산업에 뛰어들겠다고 마음먹은 청년농들도 여러 장벽에 막혀 진입이 쉽지 않다. 이런 추세로 가면 축산업 사육기반이 흔들리고 국내 축산물 자급률이 더욱 하락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이러한 후계인력 부족은 한국 축산을 소수의 농가와 기업만이 존재하는 `특수산업`으로 전락시킬 수 있다. 과거 양돈강국이었던 영국의 전철을 밟게 되는 우려가 현실화 되고 있다.    또한 정부가 2020년부터 한우 공급과잉 우려 전망과 선제적 사육규모 감축 권고를 지속적으로 전달하며 한우 사육두수 감축을 통해 시장 정상화를 꾀하고 있지만 단순 감축 정책은 산업 불균형과 시장 불확실성을 야기해 중소형 번식농가의 폐업, 송아지 가격 균형 상실 등이 우려된다는 것이 축산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위기의 축산업을 도약의 새로운 발판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첨단 기술 도입, 젊은 인력 유입, 산업 구조개선 등을 통해 지속 가능하고 경쟁력 있는 산업으로 변모해야 한다. 이를 위한 정부와 축산업계의 협력은 위기 극복을 위한 필수 조건이다. 정부는 현장에서 받아들일 수 있는 수용 가능한 규제와 피부에 와닿는 축산업 진흥 정책을 마련해야 함에도 여전히 부족하다.  청년농업인 육성, 승계 세제 혜택, 영농정착 지원, 시설투자 지원 등 경종농업과 차별화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고 축산업계 또한 자구 노력을 기울여야 합니다. 첨단 시설 및 기술 접목, `푸드테크` 실현 가능성 적극 홍보, 축산현장 근무 환경 개선, 직업으로서의 가치 새로이 인식시키기 등의 노력을 통해 젊은 인력에게 매력적인 산업으로 거듭나야 할 것이다.  아울러 미래 소비자 중심인 MZ세대는 지속 가능성, 개인화, 편의성, 세계화를 중시하는 소비 트렌드를 보이고 있다. 한우산업 또한 이러한 트렌드를 적극 반영해 변화해야 한다.  이들 MZ세대는 지속 가능성을 중요시하고 윤리적 소비와 지구 환경을 생각하는 저탄소, 자원 순환 농업에 대한 관심이 크다. 나아가 본인이 소비하는 것이 얼마나 행복하게 삶을 살았는지에 대한 동물 복지적 관점이 내면에 강하게 존재한다. 따라서 한우는 환골탈태(換骨奪胎) 해야 한다. 우리 스스로 사육두수를 감축하는 일은 우리 산업을 지키는 한 축임에는 틀림없다. 그러나 여기에 그치서는 안될 것이다.    정부와 축산업계의 유기적인 협력을 통해서만 한국 축산의 새로운 도약을 이루어낼 수 있다. 젊은 피와 첨단 기술이 접목된 한국 축산은 풍요로운 농촌과 건강한 식탁을 만들어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 본 내용은 본지의 편집 방향과 다를수 있습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30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