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맥스터 보상금, ‘3년 논의 끝 합의’ 자축보다는 반성이 먼저다경주시와 동경주지역 주민대표 간 맥스터 증설 관련 750억 원 지원금 배분 합의가 3년 만에 타결됐다. 그러나 이 합의가 축하받을 일인지, 되묻지 않을 수 없다.경주시는 3년전 동경주지역 주민대표들과 맥스터(사용후핵연료 건식저장시설) 증설에 따른 750억 원 지원금 배분에 합의를 하고서는 민민간의 갈등으로 사용합의를 하지 못해 전전긍긍하다 지난 25일 최종 합의했다. 표면적으로는 환영할 일이다. 하지만 이 ‘극적 타결’의 이면을 들여다보면, 마냥 박수칠 수 없는 현실이며 매우 안타까운 소식이 아닐수 없다.합의 속내를 살펴 보자면 애초 2022년 기본합의가 체결된 이후, 이 문제는 불과 몇 달 내에 마무리될 수도 있는 사안이었지만 동경주권 내 마을 단위별 일부 주민 간의 갈등, 지역 내 이익을 둘러싼 대립, 행정의 미온적 중재는 결국 3년이라는 시간을 허비하게 만들었다.이 과정에서 경주시의 리더십 부재와 조정 능력 부족은 시민들에게 피로감과 불신만을 안겼다는 지적을 받고 있는 셈이다.더 큰 문제는 ‘지원금 배분’이 지역 발전이라는 대의보다 개별 이익에 더 방점이 찍혔다는 점이다. 일부 대표성 논란이 있는 인물들이 협의체를 좌우했고, 절차적 투명성에 대한 시민들의 의구심은 여전히 해소되지 않았다. 과연 이 750억 원이 지역 전체의 미래를 위한 공정하고 효과적인 방식으로 쓰일 수 있을까라는 의문이 들지 않을수 없다.APEC 정상회의 유치를 위한 기반이라지만, 그 명분에 앞서 우리는 지역 사회의 신뢰 회복이 먼저라는 점을 잊어서는 안 된다. 이번 합의는 출발이지 종착이 아니다. 지역 행정과 주민 사회는 지금부터라도 ‘소모적 갈등’에서 벗어나 ‘투명한 소통’과 ‘책임 있는 사용’이라는 기준을 분명히 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