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론>투자 중심지로 거듭나는 경주, 지방경제 미래의 좌표 잡아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경기 침체의 여파로 지역경제가 위축되는 가운데, 경주시는 투자 친화적 제도 개편을 통해 지역산업의 활로를 적극적으로 모색하고 있다. 조례 개정에서 산업단지 전략까지, 경주의 변화는 단순한 행정의 틀을 넘어 지역경제의 체질을 바꾸는 과감한 시도로 평가 받고 있다.시가 최근 ‘기업 및 투자유치 촉진 조례’를 대폭 개정하며 기업 생태계에 숨통을 틔우는 정책을 발표했다. 기존 20명 이상이던 고용기준을 10명으로 하향 조정해 더 많은 중소기업이 지원의 문턱을 넘을 수 있도록 했고, 100억 원 이상이던 투자 기준도 20억 원으로 완화해 투자 유인을 대폭 강화했다. 최대 50억 원까지 지원이 가능해진 보조금은 기업 유치에 실질적인 동력이 될 전망이다.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물류비 지원 조항의 신설이다. 제조업 비중이 높은 경주의 산업 구조 특성상 물류비는 기업 운영의 큰 부담이다. 3년간 최대 9천만 원의 물류비를 보조하는 이번 개정은 수출기업과 납품업체들에게 실질적인 경쟁력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이러한 제도적 변화는 단기적인 기업 유치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 경주가 가진 산업적 기반을 미래형 산업구조로 전환하는 전초전이기도 하다. 문무과학연구단지, SMR 국가산업단지, 중소 산업단지 지원 확대 등은 경주가 단순한 역사문화 도시를 넘어 첨단과학과 에너지 중심지로 도약하고자 하는 중장기 전략의 일환 보아진다.시가 진행하고 있는 e-모빌리티 단지, 역세권 구역과 양성자가속기연구단지 추진도 같은 맥락으로 평가 받고 있다. 이는 산업단지 중심의 경제 구조를 넘어서 첨단 모빌리티, 청정에너지, 정주환경이 결합된 새로운 산업생태계를 구축하려는 미래 비전의 일부다.무엇보다 이번 제도 개선은 오는 10월 개최되는 2025 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경주가 전 세계 투자자와 기업에 ‘개방과 혁신’의 도시로 거듭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단순히 행사 개최지라는 상징을 넘어서, 실제 기업이 터를 잡고 인재가 모이며 일자리가 창출되는 ‘실행형 도시’로 변모할 수 있는 기회인 셈이다.이제 남은 과제는 제도의 지속성과 실행력이다. 단기성과에 치우치지 않고, 기업과 행정이 지속적으로 협력하는 구조를 정착시켜야 한다. 또한 지역사회와의 상생, 인재 유입과 교육 기반 확충도 함께 추진돼야 할 시점이다.경주의 변화는 지금이 시작이다. 제도적 장치와 물리적 인프라가 마련된 지금, 이를 실제 성과로 연결하는 것은 결국 사람의 몫이다. 경주시가 선택한 ‘기업 친화도시’라는 길이 지방경제의 새로운 좌표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