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 고청렴의 물결을 일으키자! 국민권익위원회 보고에 따르면 2015년 공공부문에 대한 한국의 부패인식 지수(CPI)가 5.6점으로 조사됐다고 한다. 조사 대상 180개국 중 40위에 머물렀다. 또 경제협력개발기구(OE CD) 30개국 의 평균인 7.11점과 상당 한 차이를 보였다.  국내총생산(GDP)으로 보면 세계 10위권의 경제대국이나 청렴문화에 있 어서는 OECD 30개국 평균에도 크게 미치지 못함을 보여준다.  이러한 실정이니 최근까지도 공무원들 은 공직자의 도덕적 해이(moral hazard) 에 의해 국민의 지탄을 받고 있다.  공직자 청렴에 대한 지탄의 소리가 들 릴 때마다 청렴한 세상을 꿈꾸는 국민 들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는 현실이 안타깝다.  이 안타까운 마음을 조금이라도 덜어 내고자 공직자들이 청렴을 어떻게 실천해 나갈 것인지에 대해 말해보 고자 한다.일반적으로 청렴(淸廉)의 사전적 의 미는 성품과 행실이 맑고 깨끗하여 탐욕이 없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러한 의미의 청렴을 무작정 행하라고 한다면 굉장히 추상적이고 애매모호하게 느껴지면서 청렴을 실천하기가 어려워진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청렴하라! 고 막무가내로 외칠 것이 아니라 청렴을 행하는 것이 어떤 것인지 명확하고도 구체적인 기준과 실재적인 방법을 제 시해 줘야할 것이다. 제도적으로 현재 경상북도 소방공 직자의 청렴의 기준 은 명확하게 정해 져 있다.  첫째, 민원 업무를 법과 원칙에 의거 하여 공정하게 처리하는 것 둘째, 민원과 관련하여 일체의 금품, 향응을 주거나 받지 않는 것셋째, 직위를 이용하여 청탁을 하거나 청탁을 받아주지 않는 것넷째, 부패를 보았을 때 정의로운 고발 정신을 발휘하여 신고하는 것이 네 가지를 잘 지키고 있다면 우리 는 청렴하게 공직생활을 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 네 가지 기준을 알게 되면 청렴을 어떻게 실천할 것인가에 대한 답도 자연스럽게 나오게 된다. 이 네 가지 기준을 가지고 주기적으로 자신 의 공직생활을 돌아보고 이 기준을 준 수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바로 청렴 을 실천하는 방법이다.  여기서 한 가지 덧붙여 강조하고 싶은 것은 청렴을 실천함에 있어서 순서가 있다는 것이다. 쉽게 말해서 리더의 자리에 있는 사람들, 지위가 높은 자들 이 솔선수범해야 한다는 것이다.  공직자들의 청렴하지 못하는 이유가 리더들에게 있다고 말하는 것이 아니 다. 청렴의 물결이라는 큰 변화를 일으 키기 위해서는 리더들의 솔선 수범이 필요하다고 말하는 것이다.  청렴을 교육하는 것도 리더들이고, 청 렴을 권유하는 것도 리더들이고, 청렴 을 먼저 실천하는 것도 리더 들이라는 삼박자가 잘 갖춰졌을 때 너도 나도 청렴을 실천하게 되는 청 렴의 물결은 강하게 일어날 것이라고 확신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