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원전, 정부정책 엇박자2021년까지, 미래원자력핵심인력 800명 양성월성1호기 조기폐로가 확정됨에 따라 지역내 원전관련 산업의 악영향으로 인해 지역경제가 타격을 입을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조금씩 새어 나오고 있다. 특히 현 정부는 탈핵정책을 이행 하기 위한 방안모색과 더불어 안전, 해체, 폐기물 관리 등 미래원자력기술 육성에 필요한 전문인력을 2021년까지 800명을 본격적으로 양성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지난 24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는 원자력연구개발사업 추진위원회를 개최한 자리에서 `미래원자력기술 발전전략`에 따라, 원자력 안전 및 해체기술 강화, 방사선기술 등 융합기술 지원 확대, 해외 수출 지원 등 미래원자력기술을 중점 지원하기로 했다는 것을 밝혔다.이를 위해 금년 신설된 원자력안전연구전문인력양성사업과 대학의 미래원자력연구센터 지원을 통해 안전, 해체, 폐기물 관리 등 미래원자력분야 전문인력을 4년간 총 800명 양성해 나갈 계획이다. <원자력 안전연구 전문인력>최우선적으로는 올해 신설된 원자력안전연구전문인력양성사업을 통해 안전 및 해체, 폐기물 관리 등 미래 원자력기술에 필요한 전문인력 양성을 중점적으로 지원하고, 첨단 연구용 장비와 시설을 활용한 현장 맞춤형 안전연구 인력양성을 위해 5개 교육기관을 선정하고 취업과 연계한 현장 중심의 안전기술 전문교육을 지원한다.또한 원자력 융합기술에 특화된 인력양성을 지원하기 위해 원자력 안전과 인공지능 기술을 결합한 융합 안전인력 교육과정을 신설하고 인문학과 원자력을 융합한 특성화 대학원도 지원해 글로벌 수준의 연구자를 양성하기 위해 국제원자력기구(IAEA) 등 국제기구, 선진국의 원자력 연구기관에 공동연구를 위한 대학원생 및 연구원의 해외 파견을 지원한다.<미래원자력 연구센터>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5년간 산학연 공동연구를 지원하는 대학의 미래원자력 연구센터 2개 신규 과제를추가 지원하여 총 11개의 센터를 지원한다. 18년에는 원자력 안전분야, 해체연구, 융합연구 등을 강화를 위해 `인공지능 기반 원전 운전지원 기술`, `고(高)방사성시설 제염 및 환경복원기술` 등 2개 센터를 신규로 추가 선정하고 기존의 9개 센터는 ‘미래원자력기술’ 분야로 특화하도록 지원해 나갈 계획이다. 이와 함께 미래원자력기술 분야의 창의.도전적인 기초연구를 위한 전략기초 연구과제 20개도 신규로 선정하여 3년간 지원하고, 향후에도 미래원자력분야의 연구 기반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최원호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은 “안전, 해체연구, 원자력의 타 분야 활용 및 융합연구 등 미래원자력기술 분야를 중심으로지원하고, 동 분야에 우수한 전문인력이 유입.양성될 수 있도록 지원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같이 정부는 탈핵정책과 함께 원자력관련해서 미래지향적인 원자력관련 산업정책들을 이어 나가고 있어, 월성원전 주변지역의 일부에서는 정부 정책이 일관성이 없으며 탈핵을 주장 하면서 교묘하게 원전관련 산업을 새롭게 육성하고 있기에 정부를 신뢰 할 수 없다는 목소리가 흘러 나오고 있다.더구나 연일 이어지는 폭염으로 인해 전력수요가 역대 최대치를 경신할것으로 관측되면서 전략거래소와 산업자원통상부는 비상 국면을 맞고 블랙아웃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어 이제 국민들까지도 불안해 하고있다. 이처럼 일부 원전주변지역의 시민단체에서는 계획없는 탈원전으로 인해 국민들이 불안해 하고 있으며 오히려 전기요금 인상에 대한 부담을 고민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이은우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