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 설전기자동차  경주공장을 환영하며국내 유수(有數)의 전기자동차 공장에 경주에 세워질 가능성이 커졌다. 경북도와 경주시, 그리고 전기차 생산 회사 3자간에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환영할 일이다. 이철우 지사와 주낙영 시장의 공약사항이기도 하다. 공장을 가동하려면 건물도 지어야 하고 고용도 해야 할 것이다. 몇 년 동안 세금 감면을 받을지 모르나 어쨌든 세금도 내야 할 것이다. 그러면 아무래도 우리 경주로서는 도움이 될 것이다. 강동 산단에 제강 공장이 들어서는 이후 또 하나의 경사스러운 일이다.그러나 양해각서로는 부족하다. 경주시 관련부서와 긴밀히 추진하고 있겠지만 실제로 공장이 세워지고 가동하기 전까지 안심할 수 없다. 양해각서는 아무런 법적 기속력이 없다. 공장 건립을 희망하는 회사는 각 지자체가 공장유치에 사활을 걸고 있다는 절박함을 역이용하여 여기저기 유리한 조건을 제시하는 지자체를 두고 저울질을 하고 있다는 말도 들린다. 이해 못할 일은 아니지만 경주시가 너무 성급히 카드를 내보일 필요는 없다. 의견과 협조사항을 조율하는 것이야 얼마든지 가능하지만 말이다.이 참에 경주시는 가일층 공장유치에 박차를 가할 것을 당부한다. 주마가편(走馬加鞭)이라고. 달리고 있는 말에 채찍을 가하면 더 잘 달리게 된다는 말처럼 사력을 다해야 한다. 최근 소멸도시라 하여 경주시가 비록 끄트머리지만 이름을 올리고 있다하니 불안한 마음 없지 않다. 설마 그렇기야 하겠느냐마는 알 수 없는 일이다. 지자체가 살아남기 위해서는 우선 인구가 충족되어야 하고 이어 세금수익이 있어야 한다. 이 둘을 모두 만족시키는 것은 공장을 유치하는 것이다. 물론 환경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러하다. 다행이 경주는 도심과 유적지를 제외하고라도 땅이 많다. 경주시의 배전의 노력을 기대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