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저분한  사탕발림에 속지마라경주‘천년고도’란 것은 그 누구도 부정하지 않는다. 지난 수십여년간 경주인는 고도임을 잊지 않았으며, 적어도 정부가 하는일에 있어서는 역사유적지를 부정해서가 아니라 국가가 하는일에 동참을 해왔다. 그 어떤 지역보다 앞장을 서지는 않았지만 시민들은 삶의 터전을 내 놓고 고향을 떠나는 일임에도 주저 하지않고 나랏일에 동참을 했다. 하지만 정부는 조건에 따른 보상과 국책사업에는 정부의 ‘사탕발림’이 있었고, 중·저준위 방폐장을 유치시 정부가 한 꼬드김은 그 야말로 토사구팽이 아니었던가? 더구나 정부는 지난 40여 년 간 국책사업을 수용해 온 시민들을 탈원전과 에너지 정책 전환정책을 명분으로 이제 시민들을 벼랑 끝으로 내몰고 있다. 이로인해 원전 주변지역인 동경주권(감포읍·양남·양북면)은 땅값 하락으로 주민들의 재산가치가 급락하고, 슬림현상으로 상권이 침체되는 등 위기에 처해 있고, 9·12지진으로 경주는 원전도시, 지진도시로 전락해 전반적인 경기침체가 가속되고 있다. 심지어 출산율저하, 초고령화로 접어들면서 최근 경주위기론까지 겹치고 있다. 왜 우리는 2005년 11월 2일 주민투표에서 89.5%의 찬성률로 중·저준위 방폐장을 유치했는가? 이는 시민들의 잘사는 경주를 만들기 위한 간절한 바램이었을 것이다. 그렇지만 정부는 특별법을 지정했음에도 경주지역에 정부지원 사업으로 55건에 3조 2천 759억원을 지원하기로 하고서 방폐장을 유치한지 13년이 지났음에도 지원사업은 고작 59%에 그치고 있다. 더욱 중요한 사실은 정부가 2016년까지 월성원전 내 임시저장 중인 고준위 방폐물을 경주가 아닌 다른 지역에 임시저장 시설을 건립해 옮긴다고 약속해 놓고 지금까지 방치하고 있는 실정이며, 새롭게 맥스터 7기를 더 건설하기 위해 월성본부는 원자력안전위원회에 추가건설 절차를 밟고 있는 중이다. 또한 고준위핵폐기물 처리를 위한 ‘사용후핵연료공론화’를 전 정부에 전국단위 의견수렴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현 정부는 재검토위원회를 조직해 새롭게 재검토를 하기 위한 공론화 절차를 발표했다. 이 또한 시민들은 정부가 하는 일이니 참고 견뎌야 하지만 이제 그것은 경주는 해당이 되지 않는다는 것은 이미 정부가 발표한 특별법과 여러 가지 문건에도 나와 있고 정부는 부정하지 않는 사실일것이며 단하나 우리는 “16년 반출약속” 미이행에 대한 입장을 듣고 싶을뿐이다. 정부는 무엇이 그렇게 두련운가? 이제 경주권 지도자들은 뜻과 행동을 일치 해야 할 것이다. 이는 분명 정부가 한 약속으로 여기에 대한 정부의 입장을 명확하게 듣고 결정해야 한다. 너저분한 사탕발림에 이제 속아선 안된다. 적어도 지도란 사람은 사탕발림의 약속이 무엇인지 알아야 한다. 아주오래전에 먹어보지 않았는가? 그 맛이 아무리 좋기로서니 또 다시 먹어야 되겠는가?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