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대로 못 참는다. 경주시민 600여명 청와대 앞 집회신재생에너지타운 대선공약이행촉구 및 원해연 분리 발표취소
23일(화) 오후 2시 서울 청와대 앞 경주시민 600여명과 재경향우회 100여명이 운집한 가운데 이들은 대통령이 직접 발표한 공약을 어기고, 원자력해체연구원(이하, 원해연)을 쪼개진 정책을 발표해 이를 억누르지 못해 상경집회를 가진다고 밝혔으며,“원해연 발표 취소”와 “경주를 첨단 신재생에너지 융복합타운으로 육성하고, 벤처기업과 원자력연구기관을 유치하겠습니다!”대선공약 실천을 촉구하는 구호를 연호(連呼)하면서 대통령 면담을 요구했다.
대선공약 동기는 경주는 월성원자력 발전소를 중앙으로 동해안 원자력발전소의 밸트 중심에 위치하고 있고, 전국 유일한 방폐장(핵폐기장)을 안고 있는 지역이다. 또한 방폐장 유치당시 정부가 발표한 경주지역 지원 약속이 12년간 60% 밖에 이뤄지지 않아 지역주민들은 깊은 상처와 정부 불신만 짙어가는 처지에 설상가상으로 버티고 기다리고 있는 실정이다.. 엎친데 덮친격으로 한반도 역대 최대인 5.8지진으로 급기야 정부가 재난지역선포까지 발표하는 바람에 수학여행중단 등 여행객 감소와 주민이탈 등 지역 경제 최악의 사태를 맞이하게 됐다.
지진이후 대통령 후보자격인 문재인 후보는 17년 1월 8일 경주를 방문해 “경주를 전국 유일하게 원자력산업과 신재생에너지산업을 함께 가는 「경주를 첨단 신재생에너지 융복합타운으로 육성하고, 벤처기업과 원자력연구기관을 유치하겠습니다”는 내용을 대선공약으로 2017년 5월 5일 포항유세에서 발표했고, 경주시민들은 이 공약을 얻고 많은 기대를 가지고 위안을 삼아 대선당시 22.8%라는 지지를 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공약 후 2년이 지난 오늘까지도에 ‘대선공약’실천 기미는 전혀 보이지 않고 급기야 지난 4월 15일‘원해연’본사를 부산경남 위치로 확정하고 경주는 분원격인 소규모연구소를 두겠다는 정부정책 발표야 말로 ‘대선공약’을 어기고 경주시민들을 기망(欺罔)하는 행위로 볼수 밖에 없다. 특히 지난해 한국고용정보원이 발간한‘한국 지방소멸 2018’보고서에 따르면 경주는 전국 228개 시,군,구 중 소멸도시 위험도시로 발표되면서 시민들은 소멸위기를 직감해 대통령 공약 실천만이 위기탈출의 기회와 출구로 판단하고 있다. 2018년 4월 23일 오후 2시 버스11대로 경주에서 올라 온 경주시민 600여명과 재경향우회 회원 100여명이 합세해 청와대 정문 앞에서 대선공약 당시 대통령육성 영상을 대형 스크린에 반복 재생하면서 ‘대선공약을 실천하라’는 구호를 연호 (連呼)하면서 대통령면담을 요구하는 극한 시위를 했다. 이번 집회의 주관인 ‘신재생에너지타운경주유치위원회’는 김일윤(5선 국회의원), 정홍교(전 국무총리실 관리관),이동한(전 세계일보사 사장), 이원식(전 경주시장)등 경주지역 인사들이 지난 2017년 4월 발족하여, 2017년 5월 5일, 문대통령의 「경주를 첨단 신재생에너지 융복합타운으로 육성하고, 벤처기업과 원자력연구기관을 유치하겠습니다!」라는 공약을 얻어내고, 2017년6월 28일에는 경주시민 1200여명이 모인가운데 공약실천촉구대회를 가졌으며, 2017년 7월 10일부터 20만 서명운동을 벌이고 있다.
또한 2018년 6월 5일에는 경주시장후보자를 초청해 ‘에너지타운유치’에 대한 후보자들의 공약을 듣 고, 경주시장당선시 대통령공약사항 이행촉구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서명을 받았으며, 경상북도지사 후보자에게도 같은 내용의 공약을 받아 냈다. 유치윈회회는 대통령 공약실천을 얻기위해 지난해 4월 4일 경주시민 500여명이 모인 가운데 ‘소멸도시 경주 어디로 갈 것인가?’,‘대통령 공약 실천 방안’을 주제로한 세미나를 개최하는 등 ‘신재생에너지단지융복합타운’ 유치를 위해 동분서주하고 있다.
최병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