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행인칼럼 그래도 살아 남아야 한다 지진에 놀란 것은 맞지만 엄살이 좀 심하다. 20일 대통령이 특별재난지역 선포를 검토하라고 했으니 가능성이 커졌다. 과연 특별히 난리가 났는가 세심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지 않을까. 그리고 그 후의 파장에 대해서도 심각하게 고민해야 하지 않을까. 장기적인 관점에서 보면, 특히 관광객의 감소를 걱정하지 않을 수 없다. 경주에는 관광업에 종사하여 생계를 해결하는 주민들이 많은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숙박업소와 음식점은 관광객 의존도가 특히 높다. 12일 지진 다음날부터 이틀동안 1.958실에 6.573명의 관광객이 예약을 취소했다. 숙박요금 금액으로만 5억 3천만원이 넘는다. 숙박 외 다른 관광소득을 합치면 이보다 훨씬 많을 것이다. 특별재난 지역으로 선포되면 아마도 경주는 특별한 재난이 일어날 가능성이 다분한 곳으로 인식될 가능성이 있다. 이의 파장은 몇 년, 아니 몇 십년을 이어질지 가늠하기 어렵다. 관광소득의 중요한 부분인 수학여행이 걱정이다. 학교 교장이나 학부모들이 경주로 수학여행을 가는 데에 망설이거나 꺼릴 가능성이 많다. 이렇게 되면 경주관광의 앞날은 어두울 수밖에 없다. 한옥 기와지붕이 손괴되거나 벽에 금이 가서 불안해 하는 주민들의 우려에 대해 걱정이 되지 않을 수 없고 하루빨리 복구가 되어서 예전과 같이 일상으로 돌아가야 하는 마음이야 간절하다. 그런데 너무 엄살을 부려서는 곤란하다. 솔직히 특별한 재난이라 할 만큼의 큰 지진은 아니지 않은가. 차분하게 돌아볼 필요가 있다.  이미 중앙정부 40억원과 경북도에서 3억원의 지원금을 주기로 했다. 또 경주시에서 예비비 10억원 정도 집행하면 거의 수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자부담 일부 부담은 어쩔 수 없다. 국가나 자치단체에서 100% 지원하지는 않는다. 이게 시스템이고 원칙이다. 100% 정부나 지자체 복구책임을 미루는 것은 무리다. 국민의 안위를 걱정하는 정치인들의 생각이야 고맙기는 하지만 그것도 정도껏 해야지 너무 많이 찾아왔다. 여야를 막론하고 심지어 잠룡들까지. 경주시는 높은 사람들을 모시고 보고하느라 시정이 마비될 정도였다고 한다. 일부 시민들은 생색내려고 너무 호들갑을 떠는 게 아니냐는 핀잔을 하기도 했다. 언제부터 국민을 그렇게 사랑했느냐고 말이다. 이제 시민들과 경주시가 차분하게 대응할테니 그만 좀 내려오라는 말도 들린다. 다시 말하지만 경주 관광의 장래가 걱정이다. 일본의 경우 지진으로 관광객이 오지 않자 숙박요금 50% 할인행사를 몇 달 동안 하면서 이미지를 바꿔나갔더니 예정수준을 회복하더라는 사례가 있다. 숙박업소와 경주시가 반반씩 부담하여 이런 정책을 펴는 것도 검토해 볼만하다. 지진은 지나갔고 우리는 또 살아남아야 한다. 그야말로 우리 경주시민들과 경주시가 중앙정부와 광역단체의 도움을 받아 하루빨리 일상을 되찾고 이어서 이미지 개선을 통하여 관광경주의 이름을 바로 잡아야 할 것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