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성1호기, 돌릴 때 언제고 이제 멈춰라고바람 앞에 등불 신세월성원전 1호기 운명이 바람 앞 등불 신세로 전락했다. 월성 1호기는 2012년 11월에 설계수명 30년에 수명을 다했고, 원자력안전위가 10년 수명연장을 허가하면서 2015년 2월 재가동에 들어갔다. 그러나 국민소송 원고단은 원자력원전위의 수명연장 결정에 문제가 있다며 무효 소송을 제기했고, 1년 10개월 만인 지난 2월 “수명연장 처분을 취소하라”는 승소 판결이 결정되었지만, 원자력안전위가 이의를 제기해 현재 월성 1호기는 가동 중에 있다. 하지만 문재인 대통령이 대선 공약으로 월성 1호기의 폐쇄와 원자력안전위의 대통령 직속 위원회 승격을 발표한 바 있어 월성1호기 운명은 사실상 폐로 결정이 될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예상 하고 있다. 또한 국내 최초 상업 원전인 고리 1호기가 6월 18일 영구 정지될 예정이기에 월성 1호기도 사실상 폐로(廢爐) 절차에 들어갈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문재인 대통령의 원자력관련 공약사항>1) 월성 1호기 등 노후 원전 폐쇄 및 신규 중단 등 원전사고 걱정 해소 2) 신규 원전 전면 중단 및 40년 후 원전 제로 국가로의 탈(脫)원전 로드맵 마련 3) 설계 수명 남은 원전의 내진 보강 및 설계수명 만료되는 원전부터 해체 추진 4) 지자체와 지역주민들이 참여하는 원자력안전협의회의 법적 기구화 5) 원전 안전관리 관련 업무의 외주 금지와 직접고용 의무화 등의 골자로 한 “원자력 제로(zero), 안전을 지키는 대통령”을 핵심공약을 발표한 바 있다.문재인정부의 신규 원전 전면 중단과 원전건설 계획 백지화 방침에 따라 경북지역의 원전 관련 사업들은 사실상 풍전등화 격이다. 영덕에 건설 예정인 천지원전 1·2호기도 역시나 불투명하다. 이제 새정부의 원전 정책이 나올 때 까지 한수원 관계자는 낮은 포복을 하고 있다.절대불명의 정책이 어떻게 나올것인가 하는 스스로의 운명을 예견하지 못하고 하루하루 보내고 있다.한수원 관계자는 “원전관련 정책은 국가 에너지정책과 맞물리며 정부 정책을 따를 수밖에 없는 상황이고 새롭게 출범한 정부의 원전 정책 수립을 지켜볼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고 말하고 있다. 하지만 국가에너지 정책 관련한 정부 주요인사들 중에는 국가에너지정책과 주요 원전정책은 충분한 검토 없이 정치적 논리로 반핵, 탈핵을 결정하는 것은 다소 무리가 있다고 전하고 있다. 더불어 원전 주변지역 주민들의 수용성 확보를 위해 국민혈세가 투여 됐고 무산 된다면 주민간의 마찰과 예산이 낭비될 것이고, 원전산업 경쟁력은 또다시 원점에서 출발해야 하는 절대절명의 위기에 봉착 할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경주지역 월성1호기 주변지역 주민들은 고민은 더욱 깊어 지는게 현실이 되어 버렸다. 월성1호기 재가동으로 받은 수백억원의 보상금의 행방이 묘연하기 때문이다. 본지 29호, 30호에 기사 내용을 봐도 알 수 있듯이 보상금 때문에 지역간 마찰이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이에 주민일부에서는“ 정권이 바뀐것이지 주민이 바뀐게 아니다. 보상금 주면서 돌릴 때는 언제고 이제 멈추고 없던걸로 하자는 것은 참으로 우스운 일이다”고 말했다.바람 앞의 등불, 풍전등화(風前燈火). 매우 위태로운 처지나 오래 견디지 못할 상태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사실상 원전관련 산업과 종사자들의 운명에 비유하고 있다.실제 원전주변 지역의 분위기를 살펴보면 노심초사 낮은 숨소리만 내고 있다. 더구나 경주는 월성1호기 뿐아니라 2호기, 3호기, 4호기가 곧이어 수명을 다한다. 앞으로 국가에너지정책을 기반으로 하는 원전정책에 따라 희비가 엇갈리는 운명에 모두 놓여 있다. 어쩌면 수년후에는 원전을 발전하라는 현수막이 걸릴까 하는 우려의 목소리도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다. 이은우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