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행인칼럼결초보은(結草報恩)과 화장(火葬)중국 춘추전국시대 진나라의 위무자에게는 젊고 예쁜 첩이 있었다. 위무자가 병이 들자 본처의 아들 위과를 불러 “내가 죽거든 네 서모(아버지의 첩)를 다른 곳에 개가시켜라”라고 유언을 했다. 그런데 위무자의 병세가 점점 악화되어 죽을 지경에 이르자 다시 아들에게 이르기를 “내가 죽거든 네 서모를 나의 무덤에 순장시키도록 하라”라고 다시 유언을 했다. 아버지 위무자가 죽자 아들 위과는 서모를 개가시켰다. 주위의 친척들이 “왜 아버지의 유언을 따르지 않느냐”고 따지자 위과는 “사람이 병이 위중하면 정신이 혼란해지기 마련이니, 아버지께서 맑은 정신일 때 하신 말씀을 따라야 한다”며 아버지의 처음 유언을 따라 서모를 개가시켰다고 말했다. 사람이 죽음에 직면하면 맑은 정신으로 정상적인 판단을 하는 게 아니라 욕심이 더 많아진다는 것을 아들은 알았던 것이다. 맑은 정신일 때는 젊은 첩이 새 인생을 가도록 하려 했으나 죽기 직전에는 자기를 따라 죽기를 바랬던 것이다. 정상적인 판단이 아니라 욕심일 뿐이라는 사실을 아들이 알고 서모의 인생을 열어준 것이다. 그 후 아들 위과는 진나라와의 전쟁에서 장수로 참여했는데, 전투 중 적군의 장수에게 사로잡힐 위기에 처했다. 그 때 한 노인이 적장의 발 앞을 풀로 엮어 그가 넘어지면서 오히려 위과가 적장을 사로잡아 공을 세울 수 있게 되었다. 그날 밤 위과의 꿈에 그 노인이 나타나 이렇게 말했다. “나는 당신 서모의 애비되는 사람으로 그대가 아버지의 유언을 좋은 방향으로 따라 주었기 때문에 내 딸이 목숨을 유지하여 지금도 개가하여 잘 살고 있소. 나는 당신의 그 은혜에 보답하고자 풀을 묶어 적장이 쓰러지게 했소.” 순장되지 않고 개가하여 잘 살고 있는 딸의 아버지가 죽어서라도 은혜를 갚은 것이다. 결초보은(結草報恩)이라는 사자성어의 유래다.최근 부모를 화장시키는 풍습이 늘고 있다. 편해서이기 때문이다. 자식들이 평소에 부모님께 묻는다. 돌아가시면 장사는 어떻게 지내면 좋겠느냐고. 그러면 대부분의 부모는 “마 화장해서 적당히 아무데나 뿌려라” 부모의 대답이 대체로 이러하다. 부모는 진실로 화장해서 아무데나 뼈가루가 뿌려지는 것을 원할까? 아닐 수가 있다. 부모는 다만 자식이 부모 때문에 번거롭거나 비용이 많이 드는 것을 싫어하여 자식이 편한 방법으로 화장을 하라고 말했을 개연성이 분명히 있다. 당신의 죽음조차 자식에게 힘이 되는 것을 거부하는 부모의 자식사랑일 가능성이 있다. 자식은 부모가 화장하라는 말을 깊이 고민해 볼 가치가 있다. 과연 부모는 가스불에 구워져 아무데나 뿌려지기를 원할까? 자식이 혹시라도 당신의 죽음 때문에 귀찮아 할까봐서 그냥 화장하라고 했을 마음이 아니었을까? 자식된 도리로 부모님의 마음을 깊이 헤아려 볼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