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 럼친구론(親舊論)“마흔이 넘어서 알게 된 사실 하나는 친구가 사실 별로 중요하지 않다는 거예요. 잘못 생각했던 거죠. 친구를 훨씬 덜 만났으면 내 인생이 더 풍요로웠을 것 같아요. 쓸데없는 술자리에 너무 시간을 많이 낭비했어요. 맞출 수 없는 변덕스럽고 복잡한 여러 친구들의 성향과 어떤 남다른 성격, 이런 걸 맞춰주느라 시간을 너무 많이 허비했어요. 차라리 그 시간에 책이나 읽을 걸. 잠을 자거나 음악이나 들을 걸. 그냥 거리를 걷던가. 결국 모든 친구들과 다 헤어지게 돼요. 이십 대 젊을 때에는 그 친구들과 영원히 같이 갈 것 같고 그 친구들과 앞으로도 많은 좋은 일이 있을 것 같아서 내가 손해 보는 게 있어도 맞춰주고 그렇잖아요. 다 헛돼요.
자기 자신의 취향에 귀 기울이고 영혼을 좀 더 풍요롭게 만들고 이런 게 더 중요한 거예요. 모든 도시를 다 가보고 모든 음식을 다 먹어보고 그래도 영혼을 구하지 못하면 인간은 불행해요. 밤새 술 먹고 그런 거 안 했어야 하는데.
그때에는 친구들과 잘 지내기 위해서 공허한 술자리에 술 먹고 밤새고 동아리의 앞날에 대해 이야기하고. 동아리는 내가 고민하지 않아도 잘만 굴러가요. 지금도 잘만 있더라고요. 그때에는 당시에 대단한 고민이라도 하는 것처럼요. 앞으로 동아리는 어떻게 될까를 논의하고 그랬어요. 어릴 때의 친구들은 더 배려도 없고, 불안정하고 인격이 완전하게 형성되기 이전에 만났기 때문에 가깝다고 생각해서 막 대하고 함부로 대하는 면이 있어요. 가깝기 때문에 좀 더 강압적이고 폭력적일 수도 있죠.”“난 남자들이 많은 곳에 가면 불편하다. 여자들이 관계지향적인 데 반해 남자들은 지배를 원한다. 서열을 정하지 않으면 30분도 앉아 있지 못한다. 만난 지 30분만에 선배라면서 ‘영하야, 말 놔도 되지’ 이러는 거 너무 싫다.”
“난 여성적이다. 남자들을 별로 안 좋아한다. 정치, 축구, 도박을 싫어한다.”“남성적으로 산다는 것은 한마디로 정치적으로 산다는 거다. 그건 너무 피곤하다. 90년대 이후 최소한의 사람들과 최소한의 관계만 맺고 산다. 정치활동도 안 하고 아무것도 조직하지 않고 어디에도 가입하지 않았다. 문단에서도 신경숙, 은희경, 배수아 같은 여성작가들과 더 친하다.”본래 제법 유명했지만 <알쓸신잡>에 출연하여 더욱 알려진 소설가 김영하 씨의 말이다. 나도 이 말에 전적으로 공감한다. 나 아니어도 역사의 물결은 도도하게 잘 굴러가는데도 불구하고 나 아니면 안 된다는 생각으로 밤을 새우며 토론한 게 몇 날이었으며 소주병은 또 몇 병이나 넘어뜨렸던가? 나 하나 제대로 투표나 잘하면 되는 일이었는데. 돌아보면 내 말을 듣고 마음을 바꾼 사람은 한 사람도 없었는데 말이다. 자만이었다. 그 시간에 공부를 하든가 책을 보든가 영화를 보았더라면. 아니면 거리를 걷든가. 그러면 김영하의 말대로 영혼이 더 풍요롭고 충실하지 않았을까?나는 동기들 만나는 자체를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서로 잘 났다며 서열 매기기에 역력한 모습이 역겹다. 대부분 그 나물에 그 밥이고 도토리 키재기인데도 말이다. 돈, 사회적 지위, 자식, 가문 등 은연중 친구들보다 우월성을 내세워 차별화하기 위해 혈안이다. 짐승들도 똑 같지만 남자들의 본능이다. 친구 간에는 본질적으로 시기하고 질투한다. 친구는 영원한 경쟁자라 하지 않나? 친구가 쓰러져야 자신이 앞서기 때문이다. 쓰러진 친구를 위로한다고? 그게 위로인가 약 올리는 거지. 아낙네가 죽으면 가장 먼저 덤비는 자가 신랑의 친한 친구 아닌가? 위로 한다는 핑계로 말이다. 나이 환갑이 되어도 40년전 20대 때의 모습과 똑 같다. 나이만 들면 뭐하나. 철이 들어야지. 어느 무속인 왈 ‘좋아하는 친구보다 씹는 친구가 더 많다.’고 어느 무속인이 한 말에 대해 경험적으로 전적으로 인정한다. 살아보니 그러하거늘 어쩌랴. 그러면 친구는 왜 만날까? 심심하고 무료할 때는 그래도 친구가 낫다. 만만하기 때문이다. 송무백열(松茂栢悅-소나무가 무성하면 잣나무가 기뻐한다. 벗이 잘 되면 기뻐한다는 듯의 비유)하는 친구 두 세 명이 있으면 성공이라는 게 내 생각이다. 서로 잘 났다고 서열을 놓고 치열한 암투를 벌이는 친구보다 선·후배 만나는 것을 나는 좋아한다. 선·후배 간에는 이미 서열이 정해져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서열 매기기 때문에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 얼마나 편한가. 선·후배 간에도 서열 따지기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후배가 선배 될 수는 없기 때문에 덜 피곤하다. (친구도 싫고 선·후배도 싫으면 동호인 만남이 제격이다. 나이, 돈 관계없이 뜻이나 취미만 같으면 동등한 자격으로 만나서 정을 나눌 수 있기 때문이다.) 늙으면 친구가 있어야 한다고 카톡카톡 하지만 나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피곤한 친구보다 선·후배가 편하고 동호인이 재밌다. 이웃도 있고 친·인척도 있는데 친구 없을까봐 걱정하지 않는다. 까짓 거 혼자인들 어떠랴. 바람도 있고 하늘도 있고 책도 있는데.....<김영길 편집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