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 럼무제(無題)상선약수(上善若水). 노자(老子)의 말 중에서 가장 잘 알려진 말이다. ‘최상의 선은 물과 같다. 가장 좋은 것은 물과 비슷하다.’는 말이다. 어쩔 수 없이 상(上)자를 번역하기에 ‘가장’이나 ‘최상’이라는 절대어를 쓰지만 필자는 ‘세상의 일 대부분은’으로 풀어쓰고 싶다. 노자의 도덕경 8장에 나오는 말인데 이어지는 구절을 보자.수선, 만물이부쟁 처중인지소오 고기어도 거선지 심선연 여선인 언선신 정선치 사선능 동선시 부유부쟁 고무우 (水善, 萬物利不爭 處衆之所惡 故幾於道. 居善地 心善淵 與善仁 言善信 政善治 事善能 動善時 夫唯不爭 故無尤-물의 선함은 만물을 이롭게 하지만 다투지 않고 사람들이 싫어하는 낮은 곳에 머문다.  그러므로 도에 가깝다. 거주할 때는 (물처럼)땅을 이롭게 하고, 마음을 쓸 때는 (물처럼)그윽하게 하고, 사람을 사귈 때는 (물처럼)어짊으로 하고, 말은 (물처럼)믿음으로 하고, 다스림은 (물처럼)바르게 하고, 일은 (물처럼)매끄럽게 하고, 행동은 (물처럼)때를 가려라.  대저 오로지 (물처럼)다투지 아니하면 허물이 없다) 여기서 노자가 말하고자 하는 핵심은 부쟁(不爭)과 겸손(謙遜)이다.  무위자연(無爲自然)이 노자의 중심사상이라면 이 구절은 행동준칙으로서 물처럼 살면 허물이나 탈 없이 오래 갈 수 있다는 것이다. 요즘 말로 스트레스 안 받고 건강하게 오래 살 수 있다는 뜻이다. 다투지 않고 살기란 참으로 어렵다. 대부분 자존심과 욕심 때문이다. 필자는 정서가 영 많지 않는 사람은 아예 만나지 않는다. 마음이 맞지 않는 사람과 마음 맞추려고 애쓰는 시간에 좋은 사람을 만나는 게 훨씬 낫다. 좋은 사람을 만나기에도 남은 인생은 바쁘다.  일모도원(日暮途遠). ‘해는 저물고 갈 길은 멀다’는 생각이다. 그래서 싸가지 없는 후배 두 사람을 수신차단 해버렸다. 다투기 싫어서다. 往者不追 來者不拒-가는 사람 붙들지 않고 오는 사람 막지 않는다-“큰물을 만나면 관찰해야 한다(見大水必觀)는 말씀이 무슨 뜻입니까?”라고 자공(子貢)이 공자(孔子)에게 물었다. 공자의 답은 친절하고 소상했다. “물은 만물을 키우지만 얼핏 보면 아무 것도 아닌 듯 보인다. 이게 덕(德)이다. 낮은 곳으로 흐르지만 순리와 법칙을 따른다. 이건 의(義)다. 쉼 없이 흐르지만 마름(盡)이 없다. 이게 도(道)다. 막힌 곳을 뚫어 길을 내고 백장(百丈) 절벽을 만나도 두려워하지 않으니 용(勇)이며, 그릇에 담아도 기울지 않으니 법(法)이고, 공간을 채워도 한 점 빈곳을 남기지 않으니 정(正)이다.  연약하고 작지만 미치지 않은 곳이 없으니 찰(察)이며, 물질을 씻어 정갈하고 아름답게 만드니 교화(敎化)다. 만 번을 굽어도 반드시 동쪽으로 흘러가니(萬折也必東) 지(志)다. 이것이 군자가 물을 관찰해야 하는 아홉가지 이유다.” 유명한 구덕론(九德論)이다. 순자(荀子)의 유좌(宥坐)편에 나온다. 여기서 나온 사자성어가 만절필동(萬折必東)이다. 강물이 만 번을 굽이쳐 흘러도 결국은 동쪽(중국 기준이지만)으로 흘러간다는 말이다.  사물이나 현상이 아무리 요동을 쳐도 결국은 순리대로 흘러간다는 얘기다. 일이 꼬이거나 난관에 부딪혔을 때 위로와 다짐의 말로 쓰인다.<중앙일보 2019.3.3. 한자(漢子)이야기 참조> 공자 역시 노자처럼 물을 최상의 선(善)으로 비유했다. 공자가 어느 날 강둑에 앉아 흘러가는 강물을 보고 말했다. “서자여사부 불사주야(逝者如斯夫 不舍晝夜)-흘러가는 게 이 물과 같으니 밤낮도 없이 흘러가는구나. 논어 자한편 16장)” 도덕 선생 같았던 공자의 말 중에서 가장 낭만적인 말 중에 하나다. 자신이 이룬 정치적 이상(理想)이 밀려오는 후학들에 의해 영원히 계승될 것임을 물을 통해서 확신했다고 해석하기도 하지만 필자는 시간이나 인생, 자연현상 모두 대입시킬 수 있는 말이라고 본다. 세상은 변화하면서 영원히 흘러간다는 뜻도 될 것이다. 마치 노자(老子) 도덕경(道德經) 7장의 천지장구(天地長久-하늘과 땅은 오래토록 존재한다)라는 말처럼. 모든 것은 변한다.  서양속담의 `시간과 조류는 사람을 기다리지 않는다(Time and Tide wait for no man)`는 말처럼. 자연현상도 사람의 마음도 같다. 변하면서 흘러간다. -현재까지 자연과학자들이 밝혀낸 딱 두 가지 변하지 않는 것 1.빛보다 빠른 것은 없다. 2.우주에는 중심도 가장자리도 없다를 제외하고.18세기 프랑스의 ‘라부아지에’라는 화학자는 물이 산소와 수소의 결합체라는 사실을 알아냈다. 뒤 이어 영국의 과학자 ‘돌턴’은 물이 산소원자 하나와 수소 원자 둘의 결합체라는 사실을 발견했다. 후에 다른 과학자들은 두 수소원자의 각도가 104.5도라는 사실도 알아냈다. ‘물의 근원은 물’이라는 탈레스의 후손들이 동양과 달리 물질 연구에 치중한 결과 오늘 날 서양의 과학문명을 발달시킨 요소가 되었다.  물 덕분에 인류가 지금까지 영속해 왔다. 만약 얼음이 물에 뜨지 않고 가라앉으면 인류는 멸종했단다. 강이든 호수든 바다든 모두 얼음이 돼버리기 때문이다. 물-水- 그냥 물로 볼 일이 아니다. <김영길 편집위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