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의원 포함 경주시민 23명, 경북도청 항의방문에너지산업융복합사업 기본계획 고시에 따른 지자체의 대책 촉구
27일(화) 신재생에너지타운경주유치위원회(이하, 위원회) 김일윤 공동대표의장을 비롯한 23명은 경상북도청을 방문해 “경주를 첨단 신재생에너지 융복합타운으로 육성하고, 벤처기업과 원자력연구기관을 유치하겠습니다!”문재인 대통령 대선공약 실천 주장과 산자부 「에너지산업융복합사업 기본계획 고시」에 따라 경북도는 경주시를 특정하여 신청하도록 요구하는 이철우 지사와 면담을 가졌다. 위원회 관계자는 “산자부에서 ‘에너지산업융복합사업 기본계획’에 따른 고시에 대한 지자체 대응이 미혼적인 결과를 가지고 있으며, 타 지역은 발 빠른 대응과 국회의원, 시·군수, 시·군의장 등이 나서고 있는 반면 경주는 강건너 불구경 하는 듯 한 느낌을 받아 도지사를 찾아가 경주는 어느 도시보다 산자부 신청 지침 기준에 가장 부합되는 당위성을 주장했다”고 전했다. 경주는 무엇보다 월성원자력 발전소를 중심으로 동해안 원자력발전소의 밸트 중심에 위치하고 있고, 전국 유일한 방폐장(핵폐기장)을 안고 있는 지역이며, 한수원본사가 있다. 방폐장 유치당시 정부가 발표한 경주지역 지원 약속이 대다수 이뤄지지 않아 지역주민들의 깊은 상처와 정부불신만 짙어가는 처지에 설상가상으로 한반도 역대 최대인 5.8지진으로 정부가 재난지역선포까지 발표하는 바람에 수학여행중단 등 여행객 감소와 주민이탈 등 지역 경제 최악의 사태를 맞이하게 됐다는 주장이다.위원회 간부는 “경주의 위상이 꺽이고 있고 문재인대통령이 지방에서의 공약을 이례적인 발표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공약이 이행하지 않고 있으며, 더구나 경주 지도자들은 눈을 감고 있다. 더 이상 묵과 할수 없는일이며 시민의 뜻이 관찰되지 않을 경우 대규모 집회를 하겠다”고 말했다.이처럼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공약을 촉구하는 활동을 위원회는 여러차례 지역과 청와대를 방문해 경주의 뜻을 전달하고 오늘까지 서명운동을 벌이고 있다. 이들 주장처럼 경주는 유일한 원자력메카도시라는 주장을 통해 대통령공약 촉구와 함께 잘사는 경주를 만들기 위해 순수 민간단체인 유치위원회에서는 신재생에너지단지융복합타운 유치를 위해 끊임없이 활동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