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 설걱정되는 체육회장 선거내년 1월 15일 치러지는 경주시 체육회장 선거를 앞두고 말이 많다. 자치단체장이 체육회장을 겸한 이유는 체육행정의 원활한 운영 때문이었지만 자치단체장이 민간체육의 영역까지 권한을 행사하는 것은 체육계의 자율성을 해치고 또 자칫 선거에 이용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국회에서 법이 개정되어 첫 민선체육회장이 탄생하게 된 배경이다.  우리나라 체육행정에 있어서 획기적인 변화이자 발전된 모습이다. 벌써 그렇게 되었어야 했다. 이에 따라 전국적으로 체육회장을 뽑는 선거가 치러진다. 그런데 자치단체 대부분은 체육계와 체육인들의 화합과 단결을 위한다는 명분으로 후보 단일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모양이다.  단일화 문제로 혼선을 겪던 안동시도 조정이 되었고 현재 울릉도와 경주시만 단일화가 되지 않고 있다. 후보 단일화가 반드시 좋은 것은 아니지만 대부분의 도시에서 화합이라는 대의명분을 내걸고 합의조정되고 있다.  경주시 또한 단일화의 목소리가 큰 게 사실이다. 체육인들간의 분열과 불협화음이 결코 체육발전에 도움이 안 된다는 걱정과 우려 때문이다. 만일 후보 단일화가 되지 않으면 체육계는 내편 네편으로 편이 갈릴 수밖에 없다. 체육계 운영에 차질이 생길 것은 뻔하다. 각 사안마다 시비를 걸 게 뻔하고 여론조성으로 패가 갈릴 것이다. 물론 음해나 유언비어의 발생도 우려된다. 선거로 회장이 선출될 경우 당권파와 비당권파로 나눠질 것은 불을 보듯 뻔하다. 주류 비주류로 나눠질 것이다. 체육계 내에서 여당과 야당이 존재하는 것이다. 좁은 동네에서, 그것도 체육인들 간에 이런 양상이 전개되면 걱정이 아닐 수 없다. 이로 인항 손실은 체육인은 물론 나아가 시민들이게 오롯이 돌아갈 것이다. 만약 경선으로 갈 경우 선거 후가 더 걱정되는 이유다. 우리는 체육회장 선거의 단일화를 원한다. 단일화가 최선이지만 혹시 안 되더라도 축제분위기 속에서 깨끗하고 공정한 선거를 치러야 한다.  스포츠맨 답게 승복하고 마음을 모아야 할 것이다. 많은 시민들이 관심을 갖고 지켜보고 있음을 유념해야 할 것이다. 후보 단일화가 최선이지만 혹시 어렵더라도 경주체육인들의 자존심을 걸고 아름다운 선거가 치러지기를 간절히 기대해 본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