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낙영 시장, 담장 넘는 헤프닝‘월성원전소재 지역실행기구’ 출범
고준위핵폐기물 처리를 위한 사용후핵연료 정책 입법 마련을 위한 재검토 추진을 위해 지난 21일 ‘월성원전소재 지역실행기구’가 출범됐다. 원전지역 중 선도적으로 추진하고 있어 지역내 환경단체 및 시민사회 일부는 지난 20일 경주시청 본관입구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가진 바 있다.탈핵단체의 일부 위원들의 주장은 “선도적으로 타지역 원전과 달리 입법을 위한 정책적인 의견을 수렴하기 위한 절차는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하지만 경주지역은 16년 고준위핵폐기물 반출미이행과 핵기물처리를 위한 맥스터추가 건설을 추진하고 있는 정부의 꼼수가 있는 지역이므로 좀더 신중을 기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특히, 맥스터(핵폐기물저장소) 확충여부에 따른 의견을 모으기 위해 지역실행기구의 역할은 무엇보다 중요하기에 참여자 역시 중요하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일부 시민사회에서는 지역실행기구를 선도적으로 출범 할 수 밖에 없는 이유는 타 지역과 달리 월성원전 내 고준위핵폐기물 외부 저장시설의 포화가 임박하고, 이를 저장 할수 있는 공간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기에 불가피한 선택을 했을 것이라는 의견들이 팽배하다. 또한 시기내 맥스터 저장시설이 확충되지 않을 경우 월성2호기~4호기 운영이 불가피한 최악의 상황을 맞을수 있다는 상황을 피하기 위한 최선이라고 설명하고 있다.이 역시 월성원전 대외 협력에서는 맥스터(저장시설) 추가건설이 불가피할 경우 월성2호기에서 4호기는 세울 수밖에 없다는 내용을 공공연하게 흘리고 있는 것을 지역민들 일부는 여러자리에 들었다고 전하고 있다.이처럼 불가피한 상황등은 맥스터 추가 건설 및 중수로 타입인 월성원전 3곳은 셧다운 등 난제를 해결하기 위한 경주의 또 다른 숙원과제로 부상했다. 이를 견제하고 해법을 찾기 위한 지역실행기구 출범이 시민사회 및 환경단체들의 충돌로 역시 시간은 흐르고 있다.경주시와 지역실행기구 참여자들은 이런 상황등을 고려해 월성원전환경감시센터에서 지역실행기구 출범식을 열고 김남용 양북면 발전협의회 회장이 지역실행기구를 총괄할 위원장으로 선출됐다.이날 출범식장은 출범식을 막으려는 환경단체들과 동경주주민들과의 마찰이 벌어졌으며, 출범식 참여를 위해 참석한 위원들과 주낙영시장은 철담을 넘는 웃지못하는 헤프닝이 일어나기도 했다. 또한 이날 저지단체와 주민들중 일부는 물리적충돌이 일어나 감포주민1명과 울산 환경단체 1명은 병원에 입원중이다.이처럼 지역실행기구가 출범하기까지 지역사회 내부 진통이 이어지면서 향후 공론화를 위한 의견수렴이 제대로 될것인가 하는 의문이 들수 밖에 없다. 공론화는 공정하고 투명해야 하며 다양한 지역의견 수렴으로 주민 안전과 지역발전에 기여해야 할 것이다.이재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