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천년미소, 시민혈세로 임원연봉 인상하려...18년도까지 재무제표 공시 했지만, 매각후 19년도 공시는 하지않아 경주시의회 2018년 9월에 실시한 ‘행정사무감사’때 들어난 시내버스운행에 관련한 보조금 지급에 있어 정산 및 집행방법의 문제를 시민사회 및 일부의원들이 제기를 하면서 시민단체들은 급기야 감사원청구까지 이어지는 파행으로 결국 금아버스그룹은 ‘새천년미소’를 지역내 건설사에 매각했다.그 이후 감사원 감사에서 여러사실들이 드러나면서 지역의 뭇매를 맞고 경주시 역시 행정조치면하지 못했다. 또한 새천년미소 매각을 두고 여러 가지 ‘카더라’의 소문은 여전하게 무성하다. 당시만 하더라도 구체적인 인수방법과 인수금액은 공개되지 않았으며, 경주시 관계자들도 새천년미소 매각으로 인해 아직 구체적인 매각대금에 대해서는 답변을 꺼려했다. 잠잠하던 새천년미소 문제가 또 다시 불거진 것은 시의회가 2020년도 제2회 추가경정 예산안 심사에서 드러났다. 이는 코로나 등으로 인해 시내버스 보조금 명목으로 20억원을 추가로 지급해 달라고 요청하면서 실상이 공개 되었다.올해 당초예산 96억여원과 제1회 추경 55억원을 포함하면 총 171억원에 이른다. 이 가운데 새천년미소 사장은 지난해 책정된 연봉 1억 5600만원보다 무려 1억 2000만원 오른 2억 7600만원, 전무는 1억 2000만원이 오른 1억 8000만원, 부사장과 감사도 3천만원씩 인상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일부 시민들은“ 코로나 등으로 인해 어려운 것은 이해가 간다지만 왜 시민혈세로 임원들 연봉까지 올리고 그리고 왜 시 예산으로 충당해야 하는지 이해가 안간다” 고 성토하고 있다.지난해 경주지역 시내버스 보조금과 관련해 각종 의혹들 중 일부는 2013년부터 2017년까지 5년간 357억 1321만원의 보조금을 집행하면서 추가비용이 발생하지 않았음에도 7억 800만원을 추가로 지급했는가 하면 2016년과 2017년에는 집행잔액이 없는데도 4억 1500만원을 환수하는 등 지방재정법을 위반한 것으로 드러났음에도 여전하게 경주시는 추가예산 편성을 요청해 시의회의 질타를 받았다.이뿐 아니라 일부 시민사회에서는 금아그룹에서 새천년미소를 매각 할 당시만 하더라도 시민사화단체의 감사원청구로 인해 잠시 잠깐 소나기를 피하려 경영권을 넘겼다는 주장을 하고 있다. 이는 새천년미소 역시 외부감사 대상임에도 불구하고 18년까지 외부감사를 받은 사실은 있으나, 매각이후 19년도 감사는 아직까지 외부감사 내용을 공시하지 않아 소문은 더욱더 커져가고 있다.일부 시의원들 중 모의원은 “경주시에 자체감사를 요청해 감사를 실시해 사실을 확인 하겠다는 답변을 받았다”고 전하고 있다. 현재,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상 외부감사 제외대상인 소규모회사는 직전 사업연도 말의 자산 120억원 미만, 부채 70억원 미만, 매출액 100억원 미만, 종업원수 100명 미만 요건 중 3가지만 충족해도 외부감사를 받지 않아도 된다. 하지만 새천년미소는 여기에 해당이 되지 않기에 외부감사대상에 해당된다.외부감사후 공시로 알수 있는 범위가 재무제표에 정부보조금 집행, 부채, 특수관계자 거래, 주주현황 등 회사의 전반적인 경영 상황을 반영하기 때문에 회사의 투명성 제고를 위해 정부보조금 대상 버스회사는 전체적으로 공시를 하고 있지만 새천년미소는 19년 재무제표를 공시하지 않고 있다.이에 경주시 관계자는 “금감원 전자공시에 대해서는 의무사항이 아니기도 하지만, 개별 기업이 하는 것에 대해 강제로 하라고 하기 어렵다”며 “현재 경주시가 매년 지급하는 재정지원 보조금 지급에 대해서는 버스업체가 제공하는 회계자료를 근거로 외부 전문회계법인에 의뢰해 분석해 예산에 반영, 지원하고 있다”고 밝혀 연간 160억원의 시민 세금을 보조금으로 지원하고 있음에도 경주시가 버스업체의 재정 건전성 확보하기 위한 최소한의 권한도 행사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새천년미소는 현재 운영뿐 아니라 전반적인 부분에서도 당시 시민사회단체 감사청구시 활동했던 활동가들의 주장에 최근들어 무게가 실리고 있다. 금아버스그룹에서 매각 결정후에도 금전거래 관계가 모호한 부분과 금아버스그룹에서 매각된 새천년미소 역시 금아버스그룹 등과의 상호 보증관계 등으로 풀리지 않는 의혹들로 하여금 시민사회는 또 다시 술렁이고 있다.  활동가 들은 이를 더욱 더 확신 하는 것은 2018년까지 외부감사를 받은후 정보공시 했지만 2019년 매각해에는 정보공시를 하지 않는 것을 두고 정황등이 정보공시로 인해 볼수 그간의 자금행적이나 주주관계 등 실상이 드러나기 때문에 정보공개를 하지 않는 것으로 본다고 전하고 있어 활동가들의 주장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특별취재팀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