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가 추진하는 ‘유림지하차도 구조개선공사’가 e-편한아파트 주민들의 반대로 중단되면서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주민들은 유림숲이 훼손된다며 공사 백지화를 주장하고 있지만, 과연 이들의 주장이 정당한 것인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다.
우선, ‘유림숲’이라는 명칭 자체가 역사성을 지니는지에 대한 논란이 크다. 2000년 초까지만 해도 이곳은 나무 한 그루 없는 허허벌판이었으며, 이후 도로 개설 과정에서 외래종인 메타세콰이어가 심어졌다. 즉, 자연적으로 형성된 숲이 아니라 인위적으로 조성된 공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를 ‘천년의 숲’처럼 보호해야 한다는 주장은 억지스럽다는 비판이 나온다.
또한, e-편한아파트 주민들이 유림숲 보존을 외치고 있지만, 정작 아파트 개발 당시에는 지역 환경 보호에 대한 고려가 없었다는 점도 지적된다. 2016년 아파트가 완공되기까지 인근 지역의 녹지 보존이나 도시숲 조성 등의 노력이 없었던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이제 와서 숲 보존을 이유로 공사를 반대하는 것이 과연 순수한 환경 보호 의식에서 비롯된 것인지 의구심을 갖게 한다.
더욱이, 유림지하차도 구조개선공사는 단순한 도로 확장 사업이 아니라 상습 침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치다. 유림지하차도는 경주IC에서 시내권을 연결하는 주요 도로이지만, 잦은 침수로 인해 교통 체증이 심각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개선공사는 오히려 시민들의 안전과 편의를 위한 필수 사업이다. 2023년 경주시의회에서도 황성동 주민들의 숙원사업으로 추진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 바 있다.
공사 반대 주민들은 소음, 미세먼지, 배기가스 증가 등을 이유로 들고 있다. 그러나 현재도 차량 통행이 이루어지는 도로이며, 직선화 공사 후 방음벽 설치 및 도시바람길숲 조성이 계획되어 있다. 오히려 공사 후 환경 개선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상황에서 무조건적인 반대는 설득력이 부족하다.
더 나아가, 유림숲 보존을 주장하는 주민들이 그동안 숲을 가꾸거나 나무를 심는 등의 노력조차 하지 않았다는 점도 논란의 대상이다. 지금의 숲 역시 경주시가 조성한 것이며, 단순히 개발을 반대하기 위한 구실로 활용되는 것이라면 이는 지역 이기주의의 전형적인 사례가 아닐 수 없다.
결국, 이번 논란은 환경 보호라는 명분을 내세운 지역 이기주의의 한 단면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될 수 있다. 유림지하차도 구조개선공사는 단순한 도로 공사가 아니라, 시민들의 안전과 편의를 위한 필수적 사업임을 고려해야 한다. 환경 보호는 중요하지만, 과거에는 외면했던 숲을 이제 와서 ‘보존해야 할 자연유산’으로 둔갑시키는 것은 설득력이 떨어진다. 공정한 논의를 통해 합리적인 해결책을 모색해야 할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