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가 시행 중인 ‘경주시민 자전거보험’이 시민 생활 속 안전망으로서 뚜렷한 성과를 내고 있다. 지난해에만 374건의 보상 건이 발생했고, 지급된 보험금은 1억 5,894만원에 달했다. 2020년 제도 시행 이후 누적 보상 건수는 1,264건, 지급 보험금은 6억 1,875만원으로, 해마다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시민 입장에서 실질적인 체감 효과가 크다는 점에서 이 제도는 단순한 행정 서비스 그 이상으로 기능하고 있다.   이 보험의 가장 큰 장점은 ‘자동 가입’ 시스템이다. 경주시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으면 별도의 절차 없이 누구나 혜택을 받을 수 있고, 외국인도 포함된다. 연령, 직업, 소득, 사고 발생 지역과 관계없이 보장을 받을 수 있는 점 또한 진정한 보편 복지로서 손색이 없다. 자전거 사고는 예고 없이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는 만큼, 이처럼 사각지대를 최소화한 제도 설계는 시민 안전에 대한 행정의 책임 있는 자세를 보여준다.   보장 내용 역시 알차다. 사망 또는 후유장해 시 최대 500만원, 4주 이상 치료 시 20만~60만원, 6일 이상 입원 시 20만원을 지급하며, 타 보험과의 중복 보상도 가능하다. 실례로, 지난해 7월 전치 5주 진단을 받은 60대 여성에게 30만원이 지급됐고, 같은 달 사고로 사망한 70대 남성의 유가족에게는 500만원의 보험금이 전달됐다. 이는 제도가 실제 생활 속에서 어떻게 작동하고 있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자전거는 친환경 교통수단이자 시민들의 건강한 삶을 위한 수단으로 각광받고 있지만, 그에 따른 사고 위험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자전거 전용도로의 부족, 운전자와 보행자 간의 인식 부족 등 여러 문제가 여전히 상존하는 가운데, 자전거보험은 그 위험을 일정 부분 상쇄해주는 역할을 한다. 특히 보험 수혜자의 다수가 노년층이라는 점은, 제도가 지역 사회의 취약계층 보호에도 기여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경주시는 이 같은 성과에 안주하지 않고, 보다 촘촘한 생활 안전망 구축을 약속하고 있다. 주낙영 시장은 “예상치 못한 사고로 어려움을 겪는 시민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고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며, 향후 자전거 이용 활성화와 더불어 안전 정책도 함께 강화해나가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시민 누구나 안심하고 자전거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이야말로, 지속가능한 도시를 위한 첫걸음이다.   경주시의 자전거보험은 일상의 안전을 보장하는 행정이 어떻게 시민의 삶을 실질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모범사례다. 타 지자체들도 경주의 사례를 참고해 생활밀착형 안전 정책을 적극 도입·확대해 나가길 기대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