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숙 원장의 우리 차 이야기]-1 우리차의 茶禮문화
禮의 사전적의미는 “사람이 마땅히 지켜야 할 사회적 질서의 규범과 행동의 절차”를 말한다. 한자禮를 풀어보면 땅귀신의 기(示)와 풍년들풍(豐)자로 구성되어 있고 풍(豐)자는 제기인 두(豆)자에 제물을 쌓는 모양으로 제사를 의미하며 종교 의식인 제의를 의미한다.
다례는 첫째, 茶로써 행하는 제의(祭儀)로 하늘이나 부처님 혹은 조상에게 격식을 갖추고 茶를 올리는 행위이다. 둘째, 사람에게 예의를 갖추어 차를 대접하는 일과 그 방법을 말한다. 다례는 사람에게 올리는 다례가 먼저 인지 제의로써의 다례가 먼저인지는 정확하지 않지만 경덕왕과 충담사의 기록에는 이 두 가지를 한 번에 보여 주고 있다. 765(경덕왕24년) 3월3일 왕이 귀정문 누각에 올라 신하들에게 “누가 길에서 위엄과 풍모가 있는 스님 한 사람을 데려올 수 있는가?” 하였다. 이때 마침 위엄과 풍모를 갖춘 깨끗한 스님이 한가로이 걸어가고 있었다. 신하들이 그를 데리고 가서 뵙게 하니 임금이 이르기를 “내가 말한 위의를 갖춘 스님이 아니다.” 그리고는 돌려 보냈다.
다시 한 스님이 가사를 걸치고 앵통(櫻筒)을 매고 남쪽에서 오고 있는 것을 보고 기뻐하며 누각에 오르도록 했다. 통 안을 살펴보니 다구가 가득 들어 있었다. 임금이 말하기를 “그대는 누구인가?” 스님이 아뢰기를 “소승은 충담이라 합니다.”“어디서 오는 길인가?”스님이 아뢰기를 “소승은 매년 중삼일(重三日)과 중구일(重九日)에 남산 삼화령(三花嶺)의 미륵세존께 차를 달여 올리는데, 지금도 차를 올리고 돌아오는 길입니다.” “임금이 말하기를 나에게도 차 한잔을 나누어 줄 수 있는가?” 스님은 이에 차를 끓여 올렸는데, 잔에서 향기가 풍겼다. <삼국유사>2권
경덕왕 24년 (765), 왕과 충담사와의 기록에는 헌공다례에서 차를 끊여 부처님께 바쳤다고 하였다. 이때는 중국의 다성 육우(733~804)가 다경(茶經)을 완성한 때로 차문화가 발달하고 정립된 시기이다. 육우는 차 끊이는 법을 체계화하고 보급하였다. 이때는 덩이차를 불에 굽고 가루를 내어 끊이는 자다법이었고 찻잔은 월주에서 나는 사발(碗)을 상등품이라 하였다. 충담사가 사발을 찻잔으로 사용한 것을 보면 덩이차를 끊인 자다법으로 끊였을 것이다. 스님이 우린차가 약재나 곡물등을 넣지 않고 순수 차만을 끊여 바친 것으로 보아 그때의 음다풍습이 상당한 수준이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더구나 차의 기(氣)나 향(香)을 강조한 것은 차의 깊은 경지를 보여주는 것이다. 경덕왕과 충담사의 만남에서 신라차의 우수함과 다양성 그리고 독창성을 알 수 있다.
첫째, 신라차의 다양함과 우수함. 충담스님이 다구를 가지고 다녔다거나 왕이나 스님이 차를 마시는 일이 자연스러워 생활속에 깊이 자리잡고 있었음을 알 수 있고 또한 다성(茶性)을 터득하여 실생활에 반영하고 경덕왕이 차를 잘 안다고 한 것은 5년전(760) 월명사에게 품차 도구일습와 수정 염주108을 하사한 적이 있다.는 글에서 증명된다.<삼국유사>5권 ‘월명사 도솔가’ 이로 보면 그때 스님들은 으레 다구(茶具) 몇 벌씩은 가지고 차를 마실 정도로 차를 가까이 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독창적인 고유의 휴대용 다구 상자인 벚나무 통(櫻筒)이 있었다.
당 육우의 <다경>에 차와 차도구 24종을 담을 수 있고 휴대하기 편리하게 대를 엮어 만든 도람(都藍)이 있었다. 이후로 육우가 만든 다도와 다구가 표준이 되어 전승 되었다.
신라에도 당대 때처럼 다구와 차를 담아서 다례를 올리는데 부족함이 없는 신라 고유의 벚나무로 만든 앵통이 있었다.
셋째, 우리 다례문화의 독창성. 신라때는 다례라 명하지 않았지만 헌다의식이 있었고 고려시대에는 진다(進茶) 의식이, 조선시대에는 이를 다례(茶禮)라 하였다. 이렇듯 우리에게는 훌륭하고 자랑스런 다례문화가 있었다. 부처님께 올리는 헌공다례와 임금께 올리는 헌다례는 당시 중국에도 없었던 우리만의 독특한 다례문화이다. 신라의 차는 불교와 더불어 크게 유행하여 음료로서뿐만 아니라 제의(祭儀)에서 꼭 있어야 하는 제물이었다. 그리고 다른 어느 나라보다 선도적인 면이 강하게 작용하였다. 그들의 아름다운 차 정신은 온나라에 두루 퍼져 순후한 다풍으로 진작시켰을 것이다. 1천3백여년의 전통을 가진으로 우리만의 전통문화로 올바르게 복원하고 전승하는 노력이 있어야겠다. 글 박영숙 원장(경주차문화진흥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