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영 기자] 대한종양내과학회는 지난 25일(금)~26일(토) 경주화백컨벤션센터에서 `제3회 Best of ASCO 2017 in KOREA (이하 BOA)`를 개최됐다.BOA는 매년 미국에서 개최되는 ASCO Annual Meeting 행사에 참석하지 못하는 국내 종양학 전문가들을 위해 한국에서는 대한종양내과학회가 공식 라이센스 계약을 ASCO와 체결하여 2015년부터 개최하고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다. ASCO Annual Meeting 은 미국임상종양학회 (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 (ASCO))에서 개최하는 연례 학술행사로 전세계 종양내과 전문의 및 관련의학자, 제약관계자들이 모이는 세계 최대의 학회로 암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치료 전략과 항암신약에 대한 연구 결과를 공유하는 암학회로 2017년 시카고에서 열린 올 ASCO에서는 약 3만9천여명이 참가했으며 총 5800여건의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BOA는 지난 25일(금) 오후 6시에 시작하여 26일 오후 3시까지 개최됐으며 ASCO에서 발표된 중요 연제 및 내용을 질환 별로 정리하여, 발표된 주제 중 최고로 선정된 연구들을 한 자리에서 볼 수 있도록 요약 발표하여 짧은 시간안에 최신 지견을 습득할 수 있도록 했다. 올해 참석자는 총 690명으로 역대 최고 참석자를 기록하며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한편 대한종양내과학회(회장 강윤구, 이사장 임영혁)는 2005년 `환자 중심의 통합치료팀`을 지향하는 종양내과 전문의가 주축이 되어 2005년 11월 정식 설립했다.이후 10여년간 혈액종양내과를 비롯하여 암 질환을 다루는 타 분야의 회원들의 가입이 증가하면서 현재는 약 900명의 회원으로 구성된 국내 최대의 종양내과 전문 학회로 성장했으며 암 연구분야는 아주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며, 암 질환 치료의 특성상 현대적인 암 환자의 치료는 진료와 임상연구와의 경계가 무너지기 시작한지 오래됐다. 암 기초 및 중개연구결과들을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암 진단법과 치료법, 특히 신약임상시험이 암 환자 진료에 시시각각 도입되고 있고 최근에는 1세대 화학항암제, 2세대 표적항암제를 이어 3세대 치료제인 면역항암제의 시대로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암 질환의 자연병력 및 치료가이드라인, 항암화학요법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을 갖춘 임상종양의사, 특히 이를 통합적으로 바라보고 환자에게 적용하는 (혈액)•종양내과 전문의들의 역할이 그 어느 때 보다 중요해지고 있기에 올해 창립 12주년을 맞이한 학회는 종양내과의 독자성과 전문성을 강화하고 암 치료의 선도적 역할을 담당하기 위하여 학회명칭(구. 한국임상암학회)을 변경했으며 회원간의 활발한 소통뿐 아니라 국내외 여러 유관학회와의 교류를 통해 종양학의 발전에 한층 더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다양한 학술행사를 통해 전문교육에도 힘쓰고 있다. 대한종양내과학회는 앞으로도 다양한 학술행사 및 대내외 정책활동을 통하여 종양내과 의사를 교육하고 훈련하는 역할을 다함으로 암 치료와 정복, 국민의 건겅증진 및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방침이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