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재생에너지타운 조기실천축구대회 개최 (국립)한국에너지 기술대학 설립 요구오는 28일 수요일 오후 2시 경주시 서라벌문화회관에서 신재생에너지타운 경주유치위원회 공동대표의장들과 1000여명의 각 단체대표들 및 시민들이 모여 문재인대통령 후보당시 공약한경주를 신재생에너지 융복합 타운으로 육성, 벤처기업과 원자력 연구기관을 유치, (국립)한국에너지기술대학 설립 촉구대회를 개최하면서 20만 시민서명운동을 펼친다. 본 유치위원회의 공동대표의장으로는 김은호, 김일윤, 임진출, 이원식, 백상승, 최원병, 이진구, 최학철, 정홍교, 김윤근, 최우섭, 손원조, 김안자, 최임석, 성 타, 신영균, 권영해, 백승관, 이동한, 이봉관, 정휘동이다. 국내 에너지 및 전력 대부분은 석탄, 석유, 가스 등 수입한 화석연료이다. 이는 심각한 환경오염과 기후변화를 야기하고 있으며, 이러한 화석연료 자원은 점차 고갈되고 있다. 지금 전 세계는 자연의 힘에서 재생 가능한 태양에너지, 풍력에너지, 바이오에너지, 수소연료전지 및 가스화청정에너지 등 신·재생에너지 개발이용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OECD국가들의 신재생에너지 보급률은 평균 9.3%인데 비해한국은 3.5%로 최하위이고, 지난 정부는 2030년 신재생에너지 목표치 9.7%를 신정부는20%로 2배 이상 상향조정 발표하면서 탈원전 정책을 공약했으며, GDP 6만 불 시대, 일자리 50만개 고용 창출을 위해 140조원 규모의 신재생에너지자립정책을 시작하였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5월 5일 포항대선유세 현장에서 이례적으로 타 지역 경주관련 공약 『경주를 첨단 신재생에너지 융복합타운으로 육성하고, 벤처기업과 원자력 연구기관을 유치하겠습니다.』를 발표했다. <타 지역인 포항에서 경주관련 공약 선언하게 된 배경은?> 경주는 고리원전, 월성원전, 울진원전의 원전벨트 중심에 있다. 전국 유일하게 핵폐기장(방폐장)이 있으며, 한수원 본사가 있는데다 역사상 가장 큰 5.8의 지진이 지난 해 발생하여 재난지역으로 선포되었다. 600여회 이상의 여진 발생과 수학여행, 일반여행객 방문이 중단되고, 심지어 주민 이주 사태까지 발생하여 민생경제가 바닥에 처한 극한 사태까지 와 있음을 문재인대통령은 2017.1.9일 예비후보당시 경주를 방문하고 확인한 바 있다. 본 궐기대회를 추진하고 있고, 별도 유치위원회의 주장내용은 아래와 같다. 신정부가 내세운 탈원전과 획기적인 신재생에너지대체정책에 발맞춰 경주시민은 다음사항을 요구한다.
1) 경주시민들의 첫째요구 -문재인 대통령은 2017년 5월 5일(金) 『경주를 첨단 신재생에너지 융복합타운으로 육성하고, 벤처기업과 원자력 연구기관을 유치하겠습니다.』공약을 발표했다. 이 공약의 특별법 입법화와 조기실천을 촉구한다.
2) 경주시민들의 둘째요구 -벤처기업 창업 등 공약이행에는 반드시 필요한 각 분야 연구소와 『한국에너지기술대학(가칭)설립』을 촉구한다. 공약의 실천으로 신재생에너지타운 건설공약과 (국립) 한국에너지기술대학(가칭)의 유치로 경주 변화는?
▣원전·한수원에 관련된 원자력해체연구소와 제2원자력원구원 등을 모두 경주에 유치한다.
▣신재생에너지 각 분야 산업체들이 모이고 벤처기업 창업 육성되어 대단위 융복합 에너지타운을 조성하여 상호보완관계와 심도있는 R&D등 경주,울산,포항 해오름동맹에서 경주를 중심으로 신재생에너지 클러스터를 구축한다.
▣각종연구소와 (국립)한국에너지기술대학에 따른 고급인력 및 학생들로 도시수준 상승①수많은 일자리 창출 ②인구증가 ③고소득 친환경 과학 도시로 탈바꿈한다위와 같이 현 정부의 원전정책과 변화되는 기조와 더불어 지역사회의 다양한 목소리를 함께 주장 하면서 시민서명운동을 펼친다는 계획으로 보인다. 고리1호기 영구정지와 함께 월성1호기 법정결론에 따라 해체가 불가피한 원전으로 인해 원전해체연구원 유치전이 사실상 또 다시 시작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벌써부터 유치전이 불붙고 있다.
앞으로 경주의 발전방향과 원전산업의 향방이 지역화두로 떠오르고 있으며, 관계산업 종사자들의 걱정꺼리가 하나둘 늘어가고 있다.이재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