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1대 대통령 선거의 막이 올랐다. 공식 선거운동 시작과 함께 이재명, 김문수, 이준석 등 주요 정당 후보들이 6월 3일 대선을 향한 치열한 득표전에 돌입했다. 이번 대선은 단순한 정권 교체를 넘어서 헌법과 민주주의를 되살리는 역사적 전환점이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위헌적 비상계엄 선포와 이에 따른 헌법재판소의 파면 결정은 헌정질서 파괴라는 초유의 사태였고, 조기대선은 그에 대한 국민의 심판이자 민주주의 복원의 출발점이 되어야 한다.
이번 대선은 단순한 정치적 경쟁이 아니다. 내란과 탄핵, 극단적 분열의 정치에서 벗어나 국민 통합과 헌정 회복이라는 시대적 과제를 완수해야 하는 선거다. 특히 국민의힘은 윤 전 대통령을 배출한 정당으로서 더욱 무거운 책임이 따른다. 만일 윤 전 대통령과의 명확한 선 긋기 없이 대선을 치른다면, 국민의 정치 불신은 더욱 심화될 것이다. 이제라도 국민의힘은 윤 전 대통령 출당과 대국민 사과 등 단절의 메시지를 분명히 내놓아야 한다.
그러나 현실은 여전히 기대에 못 미친다. 후보 확정 직전까지 이어진 당내 권력 다툼, 강제 단일화 논란은 국민에게 실망을 안겼다. 보수정당으로서 진정성을 입증하려면 지금이라도 과거를 반성하고, 책임 있는 비전과 정책을 내놓는 데 집중해야 한다.
야권 역시 상대 실정에 기대는 네거티브에 의존하지 말고 책임 있는 미래 비전을 제시해야 한다. 민주주의 회복과 국민 통합, 경제 재건, 사회 갈등 해소 등 실질적인 해법을 제시해 유권자의 판단을 받아야 한다. 특히 이번 대선은 인수위 없이 곧바로 국정을 책임져야 하는 조기 선거라는 특수성이 있다. 각 후보는 거대 위기를 헤쳐나갈 통상·안보 전략과 재정 운용에 대한 구체적 청사진을 제시해야 한다.
이러한 역사적 대선에서 네거티브 공방이나 막말, 혐오 정치가 판을 친다면 정치에 대한 환멸만 키울 뿐이다. 각 정당은 상대 후보를 공격하기보다는 국가의 미래와 구조적 개혁에 집중해야 한다. 특히 권력 집중의 폐해를 해결하기 위한 개헌 논의를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것도 유권자에 대한 진정성 있는 호소가 될 수 있다.
이번 6·3 대선은 헌정질서를 되살리고 민주주의를 복원하는 과정의 시작이어야 한다. 단지 권력을 잡는 경쟁이 아닌, 국민을 섬기고 국가의 미래를 여는 리더를 뽑는 선거다. 한국 정치가 대립과 분열을 넘어 대화와 협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모든 정당과 후보는 정치의 본령으로 돌아와야 한다. 그것이야말로 이번 대선의 진정한 의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