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림지하차도 개선사업이 소수 주민들의 반발로 지연되고 있다. 반복되는 침수로 인해 시민들이 겪는 불편과 안전 위협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이 사업의 추진 여부가 여론의 도마 위에 올랐다.
물론 지역 개발 과정에서 주민 의견을 수렴하고 생태·환경적 가치를 고려하는 일은 중요하다. 그러나 다수 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담보로 하는 공공 인프라 사업마저 반대의 이유로 멈춘다면, 이는 ‘공익’의 본질을 외면하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유림지하차도는 구조적 한계로 집중호우 때마다 통행이 전면 차단되고 있다. 차량이 갇힐 위험은 물론, 대형 인명 사고로 번질 가능성도 충분하다. 실제로 해당 도로는 평일 하루 수천 명이 오가는 주요 도로다. 더는 단순한 ‘불편’으로 치부할 수 없는 문제다.
경주시는 당초 계획된 6차로 확장을 4차로로 축소하고, 녹지 훼손을 최소화한 수정안을 제시했다. 유림숲 또한 자연림이 아닌 이식 조경지로, 보존 가치에 대해 재평가가 필요한 공간이다. 나아가 폐철도 부지를 활용한 도시숲 조성, 휴식 공간 마련 등의 보완책도 함께 추진 중이다.
소수의 우려를 무시하자는 것이 아니다. 그러나 모든 정책에는 ‘우선순위’가 있다. 시민의 안전과 생명은 그 어떤 가치보다 우선해야 한다. 침수 피해는 더 이상 방치할 문제가 아니며, 유림지하차도 개선사업은 지금이 실행의 적기다. 공공안전 앞에 멈춰선 갈등은 공동체 전체에 고통을 안길 뿐이다. 경주시와 시민 모두가 합리적인 해법과 미래를 위한 용기를 내야 할 때다.